영화 1987 ...보고 뜨겁게 울고 왔어요
고맙고
미안하고
부끄럽고
또
자랑스러웠던
우리의 1987년
그 해 여름
.
.
.
눈물이 그치지 않았던...
마음으로 더 많이, 더 뜨겁게 울었던 영화
장준환 감독의 마지막 장면을 위해 이영화를 만들었다고
그 마지막 장면은 바로 6월 항쟁
지극히 평범하고 현실주의자였던 대학생 연희가
버스지붕위에 오르면서 보았던 그 역사의 현장..!
친구님들 꼭 보시길요
자유 민주주의에 대한 깊은 책임감과 통찰을 이끌어냉 영화였습니다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죽었습니다”
1987년 1월, 경찰 조사를 받던 스물두 살 대학생이 사망한다.
증거인멸을 위해 박처장(김윤석)의 주도 하에 경찰은 시신 화장을 요청하지만,
사망 당일 당직이었던 최검사(하정우)는 이를 거부하고 부검을 밀어붙인다.
단순 쇼크사인 것처럼 거짓 발표를 이어가는 경찰. 그
러나 현장에 남은 흔적들과 부검 소견은 고문에 의한 사망을 가리키고,
사건을 취재하던 윤기자(이희준)는 ‘물고문 도중 질식사’를 보도한다.
이에 박처장은 조반장(박희순)등 형사 둘만 구속시키며 사건을 축소하려 한다.
한편, 교도소에 수감된 조반장을 통해 사건의 진상을 알게 된 교도관 한병용(유해진)은
이 사실을 수배 중인 재야인사에게 전달하기 위해 조카인 연희(김태리)에게 위험한 부탁을 하게 되는데…
한 사람이 죽고, 모든 것이 변화하기 시작했다.
모두가 뜨거웠던 1987년의 이야기.
1987’은 1987년 1월에 실제 일어났던 故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과
같은 해 6월의 민주항쟁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 영화다.
1987년은 서울대생 박종철과 연세대생 이한열이 죽은 해입니다.
6월 민주항쟁의 시작과 끝을 맺는 두 인물이죠. 영화의 시작과 끝을 맺기고 하구요.
영화는 단순 6월 민주항쟁의 이야기를 다룬 다큐멘터리적인 이야기가 아닙니다.
그리고 그 시절의 이야기로서 끝나는 이야기도 아니구요.
뚜렷하고 묵직한 주제의식을 보여주는 영화이고,
또한 그 시절의 이야기를 통해 현재를 볼 수 있게 해주고 있습니다.
2시간 동안 변곡점 없이 부드럽게 사건이 진행되는데 끝나고 생각해보면
능수능란하게 물흐르듯 넘어간 다음 이야기가 진행됩니다.
주축이 되는 인물이 시간에 따라 계속 바뀌어요.
검사에서 기자, 기자에서 교도관, 교도관에서 대학생으로.
일례로 영화의 초반을 담당하고 있는 하정우(검사)가 어느순간 보면 아예 나오지 않습니다.
그리고 초반부에는 등장하지도 않던 김태리가 후반부를 이끌어 나가고 있어요.
이런 연출은 <1987>이 가지고 있는 주제의식과 일맥상통하고 있고, 다분히 의도된 연출로 보입니다.
어떤 한 사건(박종철 사망사건)이 어떻게 혁명으로까지 이어지며
어떻게 나라의 변화(개헌)를 이끌어내는가를 보여주는 최고의 영화적 장치였다고 생각되어요.
극의 후반부로 갈수록 마음이 뜨거워지는 느낌은
일개 대학생이였던 김태리의 마음과 같은 시점에서 달려가고 있지 않았을까요.
영화를 다 보고 나면 작년부터 올해초까지 이어진 촛불혁명이 생각나게끔 합니다.
인생 선배들의 교훈으로 우리들이 이렇게 하나하나 나라를 바꾸어나가고 있어요.
그들 덕분에 지금 제가 이 좋은 세상에서 살고 있으니 감사드릴 뿐입니다.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7일 오전 서울 용산 CGV에서 열린 6월 민주항쟁을 소재로 한 영화 ‘1987’을 관람한 뒤 깊은 생각에 잠겨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7일 오전 서울 용산 CGV에서 열린 6월 민주항쟁을 소재로 한 영화
‘1987’을 관람한 뒤 관객들에게 인삿말을 전하고 있다. 배우 강동원과 장준환 감독은 눈물을 훔쳤다. 연합뉴스
원문보기:
http://sports.khan.co.kr/entertainment/sk_index.html?art_id=201801071623003&sec_id=540401#csidx7830dc71b9f27c4afd95c0591e7e394
지난해 4월8일 배우 강동원과 이한열기념사업회가 광주 망월동에 자리한 이한열 열사 묘소를 찾았을 당시 사진. 묘비 위에 박새가 앉아 있다.
'Movie&Dra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기 마스터' 이병헌, 관객 마음 훔친 명대사 열전 7 (0) | 2018.02.07 |
---|---|
신과 함께.... (0) | 2018.01.17 |
영화 더 콘서트 (The Concert) 와 Tchaikovsky...so moving (0) | 2017.12.15 |
르누아르 (0) | 2017.02.03 |
라라랜드 (0) | 2016.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