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d News & Prayers

사순절이 뭐예요? 사순절에 대한 궁금증 4가지

♡풀잎사랑♡ 2021. 2. 19. 11:21

 

사순절이 뭐예요? 사순절에 대한 궁금증 4가지

 
 
 

 2월 17일 재의 수요일을 시작으로 2021년 사순절이 시작됩니다. 전통적으로 주님의 몸된 모든 공동체는 사순절 기간 동안 주님의 이름을 찬양한다는 할렐루야를 외치지 않으며 우리와 동일하셨던 완전한 하나님이요 완전한 인간이셨던 예수님의 죽기까지 아버지 하나님 뜻에 순종하심을 같이 애통하게 됩니다. 

재의 수요일이라는 이름은 오랜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죄를 회개할 때 머리에 재를 뿌리는 전통이 있었습니다. 성경적인 전통에 따르면, 재를 뿌리는 일은 죄에 대한 하나님의 저주를 나타내는 것이었습니다 재의 수요일의 색은 검정(재의 색)이나 자주색(회개의 색)입니다. 재의 수요일에는 제단에 꽃이 장식되지 않으며 배너와 같은 장식도 가급적 사용하지 않습니다. 재의 수요일부터 성주간 토요일까지 십자가나 성화 조각들은 흰색이나 자주색 천으로 가리는 것이 좋습니다. 사순절은 부활절을 맞기까지 40일동안 계속됩니다. 물론 주일은 계산하지 않습니다. 모든 주일은 작은 부활절이기 때문에 사순절기간에 속하지 않습니다. 사순절은 주님의 고난에 촛점을 두지 않습니다. 사순절의 색은 자주색으로'주님의 고난'보다는 '성도의 회개'를 상징하고 있습니다. 주님, 2020년 사순절에는 오직 예수님만을 바라보며 예수님만을 따라가게 하옵소서 예수님이 갈릴리에 계시면 나도 갈릴리에 예수님이 사마리아에 계시면 나도 사마리아에 예수님 예루살렘 성에 들어가실 때에는 나도 거기에 들어가게 하시고 예수님이 성전을 청소하실 때에는 나도 함께 깨끗하게 하는 일꾼 되게 하옵소서. 예수님이 험한 말들로 재판을 받으실 때에는 나도 겸손히 재판을 받게 하시고 예수님이 십자가 지시고 골고다 언덕 오르실 때에는 나도 따르게 하옵소서. 베드로처럼 부인하지 않게 하시고 끝까지 주님을 따르게 하옵소서. 죽기까지 주님을 따르게 하옵소서. 내 속에 품었던 모든 교만한 생각들과 성도의 이름으로 행했던 나의 모든 잘못된것들과 입으로 행한 모든 아름답지 못했던 일들을 예수님의 십자가 앞에서 모두 깨우쳐 회개하게 하시고 내가 죽어야 함을 깨닫게 하옵소서. 산을 만들어, 나의 고집과 욕심을 세우려 했던 나의 모든 탐욕과 집착을 벗어버리고 이제는 오직 예수님의 마음으로 가난하고 깨끗하게 하옵소서. 자유롭게 하소서 그리고 사랑하게 하소서 내가 죽어야 내영혼이 살겠나이다 헛된 삶을 버리고 예수님의 아름다운 모습만을 드러내게 하옵소서. 아멘!! 

 


사순절 기간

성회 수요일부터 부활절 전날까지 주일을 제외한 40일 (2021년의 경우 2월17일 부터 4월3일까지 40일 기간)을 말하며, 자기 십자가를 지고 주께서 걸어가신 고난의 길에 동참한다는 신학적 의미가 있습니다. 이 기간동안 예수님의 고난과 부활을 묵상하며 십자가 복음을 마음 깊이 새기며 영광스러운 부활절을 준비하는 기간입니다.

 

 

 

 

사순절의 의미

사순절을 뜻하는 영어 렌트(Lent)는 고대 앵글로 색슨어 Lang에서 유래된 말로, 독일어의 Lenz와 함께 ‘봄’이란 뜻을 갖는 명칭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40일간의 기념일’이라는 뜻의 희랍어인 ‘테살코스테’를 따라 사순절로 번역한다. 이는 부활주일을 기점으로 역산하여 도중에 들어있는 주일을 뺀 40일간을 주의 고난과 부활을 기념 묵상하며 경건히 보내고자 하는 절기이다.

40이란 수는 예수께서 40일 동안 광야에서 시험받으심, 40일간 시내산에서의 모세의 금식, 이스라엘의 40년간의 광야 생활, 예수의 부활에서 승천까지의 40일 등과 같이 성경에 여러 번 고난과 갱신의 상징적 기간으로 등장한다.

이에 고난 주간을 포함하여 그리스도께서 우리 죄인의 구속을 위해 수난을 당하신 사건에 담긴 구속사적의의를 살펴보며 자신의 신앙을 재 각성하고자 비교적 긴 40일간의 절제 기간을 갖는 것이 바로 사순절이다.

사순절은 항상 수요일부터 시작되는데, 이 날은 재의 수요일, 성회 수요일, 속죄일 등으로 불리워진다.

 

 

 

 

 

사순절의 유래

사순절은 초대 교회 성도들이 그리스도의 인간의 죄를 대속하기 위해 찢기신 살과 흘리신 피를 기념하는 성찬식을 준비하며, 주님이 겪은 수난에 동참한다는 의미를 가진 금식을 행하던 것으로부터 유래되었다.

유대인들은 유월절을 준비하기 위해 유월절 전에 금식을 행했는데, 초대 교회 성도들도 신앙의 성장과 회개를 통한 영적 준비라는 차원에서 구약의 유월절 만찬을 새롭게 해석하여, 주님께서 제공하신 성찬식에 앞서 금식을 행했던 것이다.

또한 사순절이 끝나는 부활절에는 새로 영접되는 성도의 성례식이 있게 되는데, 세례 예비자들은 이때 세례와 입교(入敎)를 받기 위하여 두 주간의 준비기를 두고 금식과 기도로 신령한 훈련에 참여하기도 했다.

사순절 행사로서의 금식은 수세기 동안 매우 엄격하게 지켜졌다. 사순절의 식사로는 저녁 전에 한 끼 식사만이 허용되었으며, 물고기와 고기 등의 육류는 물론 우유와 달걀로 만든 음식까지도 금지되었었다.

그러나 8세기 이후로 가면서 이 규정은 많이 완화되기 시작해 14세기에는 금식 기도 대신에 절식 기도가 행해졌으며 , 15세기에 와서는 정오에 식사하는 것이 일반적인 종교 관습이 되었고, 저녁 시간에도 간단한 식사인 콜레이션(collation)이 허용되었다.

그러나 사순절 기간 동안에 연극, 무용, 연애 소설 읽는 것과 같은 오락 해위는 여전히 금지되었으며, 화려한 옷을 입는 것, 좋은 음식을 먹는 것 등 호화 생활 등도 자제되었다. 대신 자선과 예배 참석, 기도 등이 권장되었다.

 

 

 

 

사순절의 풍습

종려나무의 재로 이마에 십자가 그리기

종려나무를 태운 재 혹은 숯으로 이마에 십자가를 그리는 풍습은 사순절이 시작되는 재의 수요일(Ash Wendnesday)에 행해지던 풍습이다. 이때 사용되는 재는 지난해 종려 주일에 사용했던 종려나무를 태워 만든 것으로 사람들은 그리스도를 대속의 죽음으로 이끌었던 인간의 죄에 대한 참회의 표시로 이마에 십자가를 그렸다.

이는 또한 아름다운 풀과 꽃이 잠깐 후면 마르고 시들 듯 세상의 모든 부귀와 영화도 잠시 잠깐 후면 사라지고, 한 줌의 흙에서 왔던 우리도 또 다시 흙으로 돌아가게 된다는 엄숙한 인생의 교훈을 담고 있다. 또한 언젠가는 하나님 앞에 서게 될 우리의 삶의 자세를 정비한다는 점에서도 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식기도

금식은 사순절의 가장 중요한 관습이었다. 시기와 장소에 따라 금식의 기간과 그 엄격성의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과 구속 사역을 기리고 하늘나라의 백성됨을 감사하며 그 백성 된 자로서의 삶의 자세를 돌이키게 하는 금식 기도는 초대 교회 시대부터 행해졌었다. 오늘날 행해지는 금식 기도는 엄격했던 초기의 형태에서 많이 변형되어 절식(節食)기도의 형태로 행해지고 있다.

구제와 선행베풀기

사순절에는 범죄한 인류를 위해 고난 받으신 그리스도를 기억하는 의미에서 불우한 이웃을 위한 구제와 자선이 행해졌다. 특히 사순절에 행해지는 금식 기도를 통해 주님의 고난에의 동참, 불의한 자신에 대한 회개뿐만 아니라 불우한 이웃의 배고픔과 가난을 생각하기도 하였던 것이다.

하나님의 나라는 말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말의 실천에 있음을 기억할 때,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그리스도의 대속적인 사랑을 본받아 이를 실천함은 성도의 마땅한 자세라 할 것이다.

 

- 출처:God people -

 

 

사순절의 말씀

 

금식할 때에 너희는 외식하는 자들과 같이 슬픈 기색을 보이지 말라
그들은 금식하는 것을 사람에게 보이려고 얼굴을 흉하게 하느니라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그들은 자기 상을 이미 받았느니라
(마태복음 6:16)

"When you fast, do not look somber as the hypocrites do,
for they disfigure their faces to show men they are fasting.
I tell you the truth, they have received their reward in full.
(Matthew 6:16)

 

다 흙으로 말미암았으므로
다 흙으로 돌아가나니
다 한 곳으로 가거니와
(전도서 3:20)

All go to the same place;
all come from dust,
and to dust all return.
(Ecclesiastes 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