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그리고 사람

[손석희의 앵커브리핑] ′눈이 부시게

♡풀잎사랑♡ 2019. 4. 2. 08:17







요즘 친구들을 만나 대화를 나누다

그 깊이가 더해지면 자연스럽게

알츠하이머 일명 치매에 대한 주제로 옮겨 간다

농담처럼 치매보험이라도 들어야 하나 걱정하기도 하고

이미 보험료와 보장내역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본 친구도 있다

치매를 앓는 시어머니를 15년 모신 한 친구는

평소에 자식들에게 자연스럽게 다음과 같이 말하곤 한단다


“만약에 내가 치매에 걸려서 내 삶을 스스로 건사할 수 없게 되면

바로 요양원으로 보내고 너희 삶을 살아라

일말의 죄책감이나 주위 일가친척 친구들의 말에 신경쓰지 말아라

너희가 이렇게 잘 자라준 것만으로 이미 내게 할 효도는 다했다 ”


그리고 남편에게는

“만약 당신이 치매나 중풍에 걸리면 당신과 의사소통이 될 때 까지,

가 당신을 케어할 수 있을 때 까지는 돌보겠지만

그 이후에는 바로 요양원에 입원시킬 것이다

내가 아프면 당신도 마찬가지 선택을 하면 된다 ”

평소에 자기관리가 똑 부러지는 그녀다운 쿨한 선택이라고 생각하면서도

왜 이렇게 외로운 걸까

늙는다는 것은 단지 육체의 삐꺽거림이 아니다

.

.

.

나 역시 육체의 병듬보다 정신의 병듬이 많이 두렵다

백세시대라는 말의 진정한 의미는

건강하게 장수하는 것


  

[손석희의 앵커브리핑]  ‘ 눈이 부시게 ’








뉴스룸의 앵커브리핑을 시작하겠습니다.
"저의 마지막 챕터일지도 모르는데 잘 여미게 해주셔서 감사할 뿐입니다"
70대 후반의 노배우는 그렇게 말하고 있었습니다.

기억하실지 모르겠지만…
오래전 무하마드 알리가 서울에 와서 방송사를 방문했을 때 모두가 그를 반겼으나

혼자 시큰둥해서 오히려 찬사를 받았던 사람…
"저 사람이 알리구나…그냥 툇마루에 앉아 있었죠 뭐…"
 - 김혜자 배우, 2014년 12월 18일 JTBC '뉴스룸'
그 일화에 대해 훗날 '그이가 누군지 잘 몰랐을 뿐이었다' 라는 시크한 대답을 돌려줬던 사람…
오래된 농촌드라마를 통해 요즘은 흔하게 붙는 '국민엄마'라는 애칭을 아마도 가장 처음으로 들었던 사람…


그리고 어느 날 시계를 잘못 돌려 칠십대 노인이 되어버린 스물다섯 살의 그…
사람들은, 나이든 혜자가 자글자글한 주름과, 삐걱이는 관절 대신 반짝이는 청춘의 일상을 되찾게 되기를 기대하고 기다렸지요.

그러나…
"긴 꿈을 꾼 것 같습니다…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습니다."
 - JTBC 드라마 '눈이 부시게'

그 모든 베일이 벗겨지면서 사람들은 늙음에 대해, 주어진 시간에 대해, 알츠하이머라는 질병에 대해, 새삼 생각하게 됐습니다.
물론 그 보다 전에 자신이 알츠하이머에 걸렸다고 주장하는 또 다른 사람으로 인해 그 병은 회자되기도 했지만 말입니다.
나의 늙음이 죄가 아니라고 했던 또 다른 영화 속 대사처럼 늙음을 마치 형벌과도 같이 여기며 뒤로 내쳐버리고자 했던 세상…
그러나 모두에게는 언젠가 눈부신 젊음이 존재했으며 설사 그 반짝임을 잃어버렸다 하더라도, 오늘의 삶은…
늘 눈이 부신 시간이라는 잠언적인 메시지는 주름진 배우의 아름다운 연기를 통해 스미듯 먹먹하게 다가왔습니다.
그 모든 고민과 함께 절망하던 이들에게 주어진 아름다운 배우의 마지막 위안을 다시 한 번 전해드립니다.
 

내 삶은 때론 불행했고 때론 행복했습니다…
새벽에 쨍한 차가운 공기,
꽃이 피기 전 부는 달큰한 바람
해 질 무렵 우러나는 노을의 냄새.
어느 하루 눈부시지 않은 날이 없었습니다.
지금 삶이 힘든 당신…
오늘을 살아가세요. 눈이 부시게…
누군가의 엄마였고, 누이였고, 딸이었고,
그리고 '나'였을 그대들에게…

- JTBC 드라마 '눈이 부시게'

때로는 드라마 한 편이 백 번 천 번의 뉴스보다 사람들을 더 많이, 깊이 생각하게 해주고

그것이 세상을 더 좋은 방향으로 가게 한다는 말에 동의하며…
배우 한지민 씨가 했던 표현을 빌리자면…
오늘의 앵커브리핑은 배우 김혜자 씨에 대한 헌사로 드립니다.